
어느덧 추웠던 겨울이 지나가고 따뜻한 봄이 성큼 다가왔다. 3월이면 학생들은 희망 가득 안고 새 학기를 맞이한다. 그러나 어떤 학생들에겐 개학이 기다려지지 않을 것이다. 이유는 모두가 알고 있는 ‘학교폭력’ 때문일 것이다.
학교폭력이란 단순히 학교에서 발생한 것만이 아니라 학원, 공원, 놀이터, 친구집 등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상해, 폭행, 협박, 공갈, 강요적인 심부름, 따돌림,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음란·폭력정보 등에 의해 신체·정신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 모두를 포함한다.
최근 학교폭력의 경향은 그 연령이 낮아지고 있으며 옛날 단순한 신체적 폭행이 주를 이룬 것에 비해 최근에는 강제적 심부름, 사이버폭력, 성적모독 등 언어적·정신적 폭력이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매년 신학기마다 반복되는 학교폭력의 급증은 학교폭력 예방의 중요성을 느끼게 해준다.
현재 경찰에서는 학교폭력을 예방 및 대처하기 위하여 학교마다 학교전담경찰관(SPO)을 배치하고 있으며, 학교 측에서는 학교폭력자치위원회가 열려 가해학생을 처벌하는 등 다양한 대처를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청소년폭력예방재단의 조사결과, 학교 폭력 피해 후 학교전담경찰관 및 학교 측에 도움을 요청하지 않은 가장 큰 이유로 일이 커질 것 같아서, 다음으로는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아서 등 경찰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이 경찰의 도움을 신뢰하지 못하거나 어려워하는 등의 이유가 있었다.
그러나 그것은 잘못된 편견이다. 경찰은 피해학생들의 입장에서 무엇이 신고하면 불편하고 꺼려하는지 알고 그 학생들에 입장에서 도움을 주고 있다. 그리고 112신고 뿐만 아니라 117전화상담, 1388청소년 긴급전화, 온라인 상담센터로는 위센터(www.wee.go.kr), 청소년사이버상담센터(www.cyber1388.kr) 등 다양한 종류로 상담에서부터 신고접수까지 선택할 수 있다.
학교는 아이들이 사회를 접하는 첫 관문이며, 학창시절은 평생을 함께하는 친구를 만나는 소중한 시절이다. 이 소중한 시간들을 학교폭력이라는 악몽으로 물들일수는 없다. 어른들은 아이들이 피해가 있는지 항상 주의를 기울이고, 학생들은 피해발생시 적극적으로 경찰에 도움을 요청하는 등 모두가 힘을 합칠 때 학교폭력은 비로소 근절 될수있을 것이다. 반드시 학교폭력이라는 악의 고리를 끊어내어 건강한 대한민국으로 나아가야 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