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키다리병, 볍씨 소독으로 예방
벼 키다리병, 볍씨 소독으로 예방
  • 가재군
  • 승인 2018.03.26 13: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도 농업기술원 소독법 소개…“소독 순서 등 반드시 지켜야” -

충남도 농업기술원이 볍씨의 종자전염병 예방을 위해서는 소독이 중요하다며 본격적인 영농철을 앞두고 볍씨 소독법을 소개했다.

26일 도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벼 재배농가들이 가장 피해를 보고 있는 종자전염병인 벼 키다리병은 볍씨 소독이 피해를 최소화 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볍씨 소독은 발아기나 온탕소독기를 활용하는 것이 좋은데, 소독 전 충분한 볍씨 고르기를 위해서는 소금물가리기를 해야 한다.

이 경우 소독 효과가 2030% 증가한다.

소독 방법은 까락을 없앤 후 메벼는 물 20에 소금 4.2, 찰벼는 물 20에 소금 1.3을 녹인 다음 볍씨를 넣는다.

이어 물에 뜬 볍씨를 골라내고 가라앉은 볍씨를 깨끗한 물에 23회 씻은 후 건조하면 된다.

소금물 가리기를 마친 볍씨는 적용 약제별로 희석배수에 맞게 희석한 후 20에 볍씨 10kg을 온도 30에 맞춰 48시간 담가두면 된다.

친환경 벼 재배농가에서 사용하는 온탕침지 소독 시에는 60의 물 300당 볍씨 30kg10분 동안 담가두면 약제 소독과 비슷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특히 온탕침지에 민감한 삼광벼와 동진1, 운광벼 등은 처리조건을 지키지 않으면 발아율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볍씨소독 후 남은 약액을 하수구로 버리면 하천으로 흘러들어 물이 오염되므로 석회나 퇴비, 볍짚재 또는 흙을 넣어 정화한 다음 유휴지나 퇴비사에 뿌려주면 된다.

도 농업기술원 종자관리소 이동재 논산분소장은 볍씨를 소독할 때에는 소독 순서와 약제 희석 배수를 반드시 지켜야 한다해마다 같은 계통의 약제를 사용하면 저항성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최소 2년 주기로 약제를 바꿔주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