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시민들, 거리에 나와 "일본제품 No!"

거리에 나선 시민들, ‘적반하장! 파렴치한 일본의 경제보복 즉각 중단하라!’ “일본이 (한국)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판결’에 대한 ‘보복조치’로 (경제제제)진행” 공식단체가 일본제품 불매운동을 촉구하며 거리에 나선 첫 사례

2019-07-23     가재군

서산시민들이 일본제품 불매운동을 위해 거리에 나섰다.

22일 서산시청 앞에서 서산시민과 시의원 등 100여명이 모여 일본제품을 사지 않고, 일본 여행을 하지 않겠다는 선포를 하고 시민참여를 촉구하는 거리행진을 벌였다.

이날 거리행진에 앞서 일본이 과거 침략을 사과를 하긴 커녕 오히려 경제적 보복을 자행하고 있다며 일본의 경제보복과 갈등을 부추기는 대결정치를 멈추고 일본의 강제징용피해자 등에게 즉각 사죄하고 배상할 것을 요구했다.

 

이날 거리행진을 기획한 전국아파트연합회 서산시지회(회장 이원식)는 기자회견문을 통해 일본 정부는 스마트폰 및 TV에 사용되는 반도체 등의 제조 과정에 필요한 3개 품목의 수출규제를 강화한다..., 일본정부는 이어 관세 인상, 송금 규제, 비자 발급 엄격화 등 추가 보복조치 발동까지 고려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우리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판결에 대한 보복조치로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에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며 일본을 향해 강한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대법원의 판결은 정당하다. 지난 70여 년 동안 피해자들에게 사과는 않고 침략범죄에 대해 인정조차 하지 않았던 일본은 돈 몇 푼의 협상이 아니라 진심어린 사죄와 배상을 해야 할 것이다라며 일본의 적극적인 사과의 자세와 배상을 요구했다.

기자회견문 발표를 마치고 거리행진에 나선 이들은 적반하장! 파렴치한 일본의 경제보복 즉각 중단하라!’, ‘일본 아베 정권은 갈등을 부추기는 대결의 정치를 당장 멈춰라!’, ‘일본은 강제징용피해자에게 즉각 사죄, 배상하라!’라는 구호를 외쳤다.

거리행진에 나선 시민들은 일본제품 불매운동에 적극 동참할 것을 호소하는 유인물과 차량스티커를 나눠주며 선전전을 함께 진행했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을 준비한 서산지회 최호웅 사무국장은 "우리가 지금 일본 아베 정권의 행태를 용인한다면 과거 역사를 반복하는 것"이라며 "힘으로 굴복시키려는 일본 아베 정부에 맞써 싸우자는 취지에 서산시민들의 동참해주길 바란다"고 호소했다.

이어 최 사무국장은 "지난 역사에서 명백한 가해 행위를 저지른 일본은 그동안 반성과 사과가 없었다"면서 "자신들의 죄에 대해 위안부 피해자와 강제징용 피해자등  에게 반드시 진심어린 사죄와 배상할 것을 다시한번 요구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일본제품 불매운동에 앞서 서산축협 하나로 마트는 일본제품을 팔지 않겠다며 판매대에서 일본제품을 수거한 바 있어 서산지역이 유난히 최근 일본의 한국에 대한 조치에 대해 가장 크게 반발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거리행진을 통해 시민참여를 촉구하는 모습을 지켜본 대부분의 시민들은 이들에게 응원과 격려를 보냈다.

또한 일부 시민은 일본제품보다 오래전부터 한국제품이 더 좋은 것들이 많다고 생각하며 미리 인정하고 국내 제품을 키웠다면 지금 한국은 스스로 해결 할 수 있었을 것이다라는 아쉬움을 전하고 불매운동과 함께 국내 산업 육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일본제품 불매운동은 공식단체가 적극적으로 거리에 나서 주민참여를 촉구한 첫 사례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