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손에게 물려줄 환경을 지키러 나섰다!”

지곡면 원주민 단체 합동 기자회견 ‘산폐장 허가원안 준수 촉구’ 산폐장, 최초 허가대로 매립조건을 준수하라! "주민의 안전을 위해 전국 폐기물을 받아들여야 한다?"

2018-09-20     가재군

서산시 지곡면 원주민 사회단체들이 서산이에스티는 오토밸리 산단 내 최초허가신청 승인대로 매립조건을 준수하라고 촉구하고 나섰다.

지곡면 원주민이 속한 10여개 단체 소속 주민들이 19일 저녁 8시 서산시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토밸리 산폐장 사업자 서산이에스티가 최초 충남도에 허가 시 오토밸리 산업단지 내에서 발생하는 산업폐기물만 묻기로 하였으나 추후 금강유역환경청에는 인근이란 단어를 임의적으로 넣어 허가를 받았다주민들이 이의를 제기하여 환경청과 충남도가 당초 계획대로 타 지역 폐기물 반입에 대하여 불가통보를 내렸는데도 행정심판을 제기한 사업자를 더 이상 신뢰할 수 없다고 밝히고 서산이에스티는 신의성실을 저버리지 말고 최초 약속과 허가대로 오토밸리 산단 내 폐기물만 매립하고 당초 서산시민과의 약속을 지켜라라며 산폐장 사업주를 향해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이들은 우리 후손에게 물려줄 지역의 환경을 지켜야 한다환경과 안전은 지역주민 모두에게 보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기자회견문을 낭독한 박정섭 이장은 과거 가로림만조력댐건설반대투쟁위원장을 지내며 서산지역에서 환경운동에 선도적 역할을 해온 인물로 알려져 있으며 함께 참여한 지곡면 원주민들은 지곡면 이장모임’, ‘지곡면 전이장모임’, ‘지곡면 환경지킴이’, ‘지곡면 발전협의회’, ‘지곡면 바르게살기협의회’, ‘화동청년회’, ‘지곡면 남성자율방범대’, ‘지곡면 청년농업인회’, ‘지곡면 장애인체육회’, ‘무장4리 주민등이다.

지곡면 원주민들은 산폐장 사업주 외에도 현직인 지곡면이장단협의회를 향해서도 쓴 소리를 전했다.

주민들은 지곡면이장단협의회와 일부 주민이 주민들의 안전을 위하여 전국폐기물을 받아 들여야 한다고 발표했으나 과연 주민의 안전인지 사업자의 수익성 보장인지 의아하다처음엔 인근은 3개공단(오토밸리, 인더스밸리, 테크노밸리) 것만 처리 하라고 주장했음에도 지금은 주민의 안전을 위해 전국 폐기물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어 이해할 수가 없다고 전하고 이장 일부의 의견이 서산시민의 의견을 대표할 수는 없다. 이장단 협의회는 사업의 이익보다 서산시민과 지곡면민의 안전이 우선이다라고 주장했다.

, “그동안 산폐장 문제가 지곡면민 간 갈등으로 비쳐질까 우려돼 나서지 않았지만 주민들의 안전과 후손에게 물려줄 환경을 지켜야 한다는 의무감으로 나서게 됐다고 말하고 유독폐기물은 100년이 지나도 썩지 않으며 매립이 끝나고도 언제든지 침출수 피해와 유독가스 피해가 발행할 수 있기에 실제 발생량보다 열배가 넘는 양을 매립하는 것은 안전하다고 볼 수 없다매립 종료 후에도 30년 간 사후관리를 할 만큼 위험시설이기에 이 후에 주민들을 위한 운동장을 조성한다는 말은 사실 말장난에 불과하다고 말하는 등 산폐장 조성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서슴없이 전하기도 했다.

또한,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한 이장은 지곡면이장단협의회가 여러차례 기자회견장에서 밝힌 성명서나 의견은 지곡면민 또는 이장 전체가 합의나 결의한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하고 나서 주목을 받았다. “자신도 지곡면 이장인데도 성명서나 기자회견문에 합의한 사실이 없으며 또 다른 이장님에게 여쭈어 봤을 때 그 분도 잘 모른다고 한 적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곡면이장단협의회는 지난 13일 서산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역 국회의원이 관계 당국에 위력을 행사해 산폐장 사업 적합통보가 취소하게 하는 등 지역 주민 갈등을 조성하고 분열을 유발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현재 산폐장은 지난 5월 금강유역환경청이 당초 산단 내 폐기물 매립이라는 충남도 조건부 승인과 다르다면 사업적합통보 취소 처분을 내린 바 있으며 이에 불복해 산폐장 사업자가 행정심판을 제기한 상태이며 중앙행정심판위가 결정이 남아있는 상태이다.